
1. 의미불임이란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성관계를 1년 동안 진행하였음에도 임신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합니다. 만약 35세 이상 여성이라면 정상적 성관계 6개월 후에도 임신이 안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임은 임신이 되지 않는 것뿐만 아니라 임신을 만기까지 유지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부부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생식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임에는 2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이전에 성공적인 임신 경험이 없는 일차성 불임과 이전에 성공적인 임신 이후 재임신이 어려운 경우인 이차성 불임이 있습니다. 불임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로 가임기 부부의 약 10%에서 15%가 임신을 하거나 유지하..

1. 정의 및 원인바이러스 유형 뎅기열은 플라비비리대(Flaviviridae)과에 속하는 뎅기열(dengue)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모기 매개 바이러스 질병입니다.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 때 바이러스가 퍼지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모기 매개 질병으로 간주됩니다. 뎅기열은 밀접하게 관련된 4가지 뎅기열 바이러스(DENV-1, DENV-2, DENV-3, DENV-4) 중 하나에 의해 발생합니다. 뎅기열 바이러스 1형, 2형, 3형, 4형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네 가지 혈청형은 Flaviviridae 계열의 일부입니다. 4가지의 뎅기열 바이러스는 유전적으로 서로 다르지만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각의 혈청형은 뎅기열과 뎅기출혈열(DHF) 또는 뎅기쇼크증후군(DSS)을 유발..

1. 정의 및 전파력풍진(rubella)은 독일 홍역(German measles)이라고도 불리는 유행성 바이러스 감염질환입니다. 풍진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며 풍진이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조금 빨강'을 의미합니다. 1814년 독일 의사가 바이러스를 처음 분리하여 독일 홍역이라는 이름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세계 많은 지역에서 흔한 질병이며 매년 10만 명 이상의 아이가 선천성 풍진증후군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그러나 예방접종의 도입으로 인해 발병률이 상당히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질병을 근절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2종 법정전염병 중의 하나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환자 및 진단을 내린 의사는 해당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야 합니다. 증상 발병위치는 피부나 림프절..

1. 구조적, 기능적 설명 및 정의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 중 하나로 복부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성인의 간은 약 1.2kg에서 1.5kg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인체의 정상적인 대사와 해독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은 크게 우엽과 좌엽으로 나뉘며 갈고리엽과 사엽을 포함하여 총 4개의 간엽으로 구분됩니다. 간엽은 간의 내부 기능 단위로 혈액 공급과 담즙 분비 등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간은 고유한 혈액 공급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간문맥과 간동맥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고 간정맥을 통해 혈액을 배출합니다. 간은 주로 간세포(hepatocyte)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의 주요 기능을 담당합니다. 간세포 외에도 담관과 혈관, 면역 세포인 쿠퍼 세포..

1. 해부생리학 및 정의전립선은 남성 생식 기관의 일부인 작은 샘입니다. 방광 바로 아래 및 직장 앞쪽에 위치하며 요도 상부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대략 성인 남성의 호두만 한 크기이며 무게는 약 20g에서 30g입니다. 전립선은 정액의 핵심 구성 요소인 유백색 액체를 생성합니다. 이 액체는 정자에 영양을 공급하고 이동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사정할 때 전립선이 수축하면서 요도를 통해 정액을 배출하게 됩니다. 전립선은 테스토스테론과 그 활성 형태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호르몬에 의해 조절됩니다. 호르몬의 불균형은 전립선 비대(BPH)나 전립선암 또는 기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립선은 주변부, 중앙 구역, 전환대, 전방 섬유근 간질 부위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전립선 제일 뒤쪽에..